사담
전에 인턴 하면서 RESTful에 대해 정말 많이 고민했었다. 당시 REST API를 개발하는 업무를 맡았었는데, 그 때만 해도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API는 모두 REST 디자인 가이드에 맞출 수 있는 줄 알았다. 개발에 앞서 명세서를 미리 가이드라인만 작성해서 제출했었는데, 대표님께서는 Uniform Interface의 중요한 두 요소인 self-descriptive와 HATEOAS가 지켜지지 않아도 되는 이유가 있냐고 물어보셨다. 여러가지를 조사해보다가 REST에 부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REST API로 만들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. (HTTP API)
사담 2
개발하다 보면 분명 행동(method)는 GET을 사용해야 하는데, request body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. 조건을 url에 사용하자니, 그 또한 REST의 조건에 맞지 않는다. 이럴 경우에도 REST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지 못했었다.
결론
REST API의 조건은 확실하게 정해진 것이 별로 없다. '이러면 좋겠다~' 하는 것일 뿐이라, 그냥 상황에 맞춰 잘 해야지....
'Computer Science >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ue.js/Javascript] 카카오맵 Kakao Map API 에러 : "MissingParameterr", "query parameter required" (0) | 2021.05.22 |
---|---|
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(Spring Initializer, STS), 프로젝트 실행하기 (0) | 2021.05.04 |
[Spring] Maven에 라이브러리 추가하기, .jar 파일 추가 오류 해결 (0) | 2021.04.21 |
스프링 라이브러리 추가하기, 스프링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조 (0) | 2021.04.21 |
Spring Boot 다운로드 (0) | 2021.04.21 |